삼성전자 DS 견학을 다녀오고
어제 (2017.08.23) 삼성전자에서 대학생들에게 오픈캠퍼스를 열어줘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 다녀왔다. 우리과에선 기승전삼성 (뭘 하든 결국은 삼성으로 간다)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부분의 졸업생들이 삼성전자로 취직을 하고, 나 또한 '대학원이나 스타트업에 가지 않는다면 삼성전자에 취직하겠지' 라고 마냥 생각하고 있던 지라 이번 오픈캠퍼스는 굉장히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어서 방문하게 되었다. 9:30 ~ 10:30까지는 IoT사업부의 상무가 삼성전자 DS가 뭘하는 사업부인지, 그리고 왜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이 필요한지 발표했고, 10:30 ~ 12:30까지는 실제 각 부서 실무진과 만나 부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듣고 Q&A 시간을 가졌으며, 12:30 ~ 1:30까지는 삼성전자 엔지니어들과 밥을 먹고, 1:30 ~ 4:00까지는 'AI 육목대회'를 구경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는 이번 행사를 통해 크게 3가지 생각을 한 것 같다. 1. 지금 이 시점에 있어서 컴테크는 최고의 선택이다. 우리과에는 다양한 세부전공이 있고 이를 각각 ~테크라고 한다. 예전부터 핫했고 지금까지도 가장 핫한 테크는 회로테크(회로설계), 반도체테크(소자)이고, 컴테크(컴퓨터)는 그동안 많이 저평가 받았고, 옛날의 인식 때문인지 요즘도 많이 꺼려하는 테크트리다. (이 외에도 전력테크, 제어테크, 신호테크, 통신테크, 바이오테크 등이 있다) 회로테크와 반도체테크는 졸업후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혹은 (아주 잘되면) 인텔에서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굉장히 안정적으로 돈을 많이 번다. 주로 PSPICE를 쓴다고 하는데, 오늘 가서 느낀 점은, 컴테크를 밟은 전기과 학생들이 삼성전자나 하이닉스에 가면 C/C++, Verilog를 쓴다는 점 말고는 회로, 소자를 공부한 하드웨어 엔지니어와 전혀 다를게 없다는 점이었다. C/C++, Verilog를 쓸 뿐,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